목록로드밸런서 (2)
drexqq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오토스케일링을 적용해보았다. 사용이유는 특정 상황, 특정 시간에 갑자기 많은 트래픽이 몰리고 서버에 부하가 걸리는 일이 많이 있어서 해당 부분을 해소하기위해 서버의 스펙을 올리는 scale up보다는 오토스케일링을 적용시켜 scale out으로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scale up을 선택하지 않고 scale out을 선택한 이유는 sclae up을 한다면 지속적으로 많은 비용이 나가지만 scale out을 적용하면 필요할때만 늘리고 줄이는 방식으로 유연하게 트래픽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제 방법을 보자면 크게 총 5가지로 나뉘는 것 같다. AMI 생성 -> 시작템플릿(TG) 생성 -> 대상그룹(TG) 생성 -> 로드밸런서(LB) 생성 -> 오토스케일링그룹(ASG) 생성 (..
https://drexpp.tistory.com/entry/Python-Flask-Gunicorn-Nginx%EB%A1%9C-EC2%EB%B0%B0%ED%8F%AC%ED%95%98%EA%B8%B0 [Python] Flask, Gunicorn, Nginx로 EC2배포하기[1] 업무중에 새롭게 서버를 만들어야할 일이 있어서 기존에 사용하던 apahce를 버리고 Nginx를 사용하기로 했다. 지금까지의 구성은 EC2(ubuntu 20.04), nginx(1.18.0), python3(3.8.10)를 서버에 올려서 사용하였고 drexpp.tistory.com 이 전글에서 쓴것처럼 route53과 elb를 사용해서 호스팅과 ssl인증을 했던 방법을 작성해보겠다. 일단 route53에서 호스팅하기위해서는 도메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