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배포 (3)
drexqq
기본적인 설정을 하는 것 부터 모두다 작성을 할 생각이기 때문에 아마 오늘부터 1일 1포스팅을 목적으로 하게 될 것 같습니다 하하 현재 상황에 필요한 기본적인 부분부터 한 번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1. 플러터 프로젝트 생성하기 flutter create [project name] 위 명령어를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 줍니다 ! 2. github를 통해 소스코드를 관리하기 위해 git에 연결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git remote 주소] 3. .gitignore에 내용 추가 flutter create 명령어를 사용시 기본적으로 .gitignore파일이 생성되지만 추가적으로 제 개발환경에 맞는 부분들을 추가하기 위해서 .gitignore에 내용을 추가해줍니다. ht..
사이드프로젝트를 시작하기로 생각을 하였읍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해보면 지도 기능을 기반으로한 모바일 앱을 플러터로 만들어서 배포해볼 생각입니다. 배포가 완료되면 공유를 해보겠읍니다.. !
이제 실질적으로 apahce로 구동하고 있는 웹 서버를 하나 만들어볼 수 있다 /var/lib/jenkins/workspace 에 item이름과 같은 이름으로 저장되어있는 폴더에서 build를 진행한 후 해당 build폴더를 압축하여서 /var/www/html에 옮겨준 뒤 압축을 해제하는 구문을 넣어주면 되는데 나는 리액트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기때문에 nodejs설치부터 진행하겠다. jenkins 메인에서 manage jenkins에 들어가서 Manage Plugins에서 nodejs를 설치한다. 설치를 한 뒤 item에서 Build Environment에서 설치한 nodejs를 추가한다 Provide Node & npm /bin/folder to PATH 를 체크하면 아래에 설치한 nodejs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