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reetier (3)
drexqq

AWS를 사용하면서 가장 무서운점이 바로 요금 폭탄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산을 생성해서 예상 비용이 내가 설정해둔 비용 이상으로 측정되면 가입한 이메일로 알림을 받는 예산 설정을 해보겠다. 서비스에서 Billing을 찾아서 들어가준다. 그 뒤에 좌측 메뉴에 Budgets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이렇게 예산 작성을 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온다. 작성된 설명을 보니 믿음이 간다... 우측 예산작성을 클릭해서 본격적으로 예산을 작성해보자. 예산 작성을 들어오게 되면 이렇게 4가지의 선택지가 주어지는데 나는 비용에 관한 예산을 설정하겠다. 이렇게 비용 예산에 대해서 예산설정을 하겠다고 들어오면 여러가지 작성할 게 보인다. 이름은 예산의 이름을 정하는 거니 적당히 월별 예산이란 뜻으로 monthly라고 지..

이번 게시글에서는 전에 만들어 두었던 EC2 프리티어 인스턴스에 탄력적 IP를 설정하고 SSH를 putty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1 . 탄력적 IP설정 내가 알고 있는 대로 탄력적 IP를 설정하는 이유를 설명해보자면 aws에서 할당해준 퍼블릭 IPv4주소를 확인해보면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새로 시작할 때마다 주소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의미적으로 탄력적 IP를 설정한다는 것이 탄력적으로 바뀌는 IP를 설정한다는 것으로 들려서 좀 헷갈릴 수 있겠지만 고정적 IP주소를 할당해주는 것이 탄력적 IP주소를 설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그럼 이제부터 탄력적 IP를 설정해보자. 탄력적 IP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좌측 바에 있는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를 들어가야 한다. 탄..

1 . AWS접속 portal.aws.amazon.com/billing/signup#/start AWS Console - Signup portal.aws.amazon.com 위 사이트에 접속하여서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회원가입을 완료하게되면 해당 사이트 좌측에 작성된 것 처럼 12개월 프리티어 액세스가 포함된 AWS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 회원가입시 해외 거래가 가능한 VISA카드나 MASTER카드가 있어야한다 AWS측에서 확인을 위해서 1달러 정도 되는 돈을 빼갔다가 다시 넣어주는걸로 알고 있다. 2 . 콘솔로 접속하기 콘솔로 접속하는 방법은 AWS홈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하면 접속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화면이다. 여기서 뭐가 엄청 많아서 솔직히 좀 헷갈린다. 일단 나는 EC2서비스를 사용할거기 때문..